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여랑야랑 정치부 최승연 기자와 함께 합니다. [첫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보이는데요. 두 사람, 왜 맞붙은 겁니까? <br><br>A. 네, 두 사람 끝장 토론으로 '한판 뜨자'며 설전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끝장 토론이요, 뭘 두고 토론하겠다는 겁니까? <br><br>A. 바로 부정선거 의혹입니다. <br> <br>황 전 총리, 부정선거 의혹에 동조하면서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정당했다고 주장하고 있죠. <br> <br>[황교안 / 전 국무총리(오늘, 유튜브 '황교안TV') ] <br>"대통령을 지키고 대통령이 여러분들에게 당부한 부정선거를 바로잡으러 여기 오셨죠? (맞습니다!)" <br> <br>Q. 그렇다면 이 의원은 왜 이렇게 토론을 하자고 하는 겁니까? <br><br>이 의원은 '부정선거 음모론과의 전쟁'을 선포했습니다. <br> <br>"각종 선거가 부정한 방법으로 조작됐다는 건 시대착오적 음모론"이라면서, 직접 나서 싸우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황 전 총리 외에도 민경욱 전 의원, 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 씨 등을 겨냥했습니다.<br> <br>[이준석 / 개혁신당 의원(어제)] <br>"황교안 전 대표, 민경욱 전 의원 그리고 최근에 사회적으로 저명한 강사인 전한길 씨 등 대표성 있고 책임있는 인물들이 끝까지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줬으면…" <br> <br>Q. 그래서 황 전 총리는 답을 준 겁니까? <br><br>A. 황 전 총리는 지난해 12월 이미 '국민 대토론'을 했다며 이 의원의 1대1 토론 제안을 사실상 거절했었는데요. <br> <br>[황교안 / 전 국무총리(21일, 채널A 라디오쇼 '정치시그널') <br>"그때는 가만히 있다가…. 내가 이준석 따라다니고 뭐 누구 따라다니고 그럴 시간이 어디 있습니까? 나라 지키기도 힘든데." <br> <br>오늘은 SNS에 직접 답을 내놓았습니다. <br> <br>"부정선거 없다고 하는 이준석은 2월 14일(금), 프레스센터 18층으로 오라"면서 "외신 기자들도 오기로 했다"고 받아쳤습니다.<br> <br>Q. 이 의원도 가만히 있지 않았겠네요? <br><br>A. 네, 이 의원도 곧바로 SNS에 메시지를 올렸는데요. <br> <br>"토론 제안을 받아들이는 대신 자신들 부흥회에 오라고 제안하시는데, 토론회는 왜 거부하냐"고 압박했습니다. <br><br>그러면서 "밸런타인데이에 꼭 하셔야 한다면 방송국 스튜디오를 섭외해 토론으로 하는 게 어떻겠냐"고 재차 제안했습니다. <br><br>Q. 진짜 토론회 열면 궁금하긴 할 것 같아요. 두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00 학교 모집? 민노총 모습이 보이는데, 무슨 학교를 모집하는 걸까요? <br><br>A. 바로 선동 학교입니다. <br> <br>민노총, 최근 선동 교육에 나선다며 공지를 올렸습니다. <br> <br>대상은 민노총 간부들이고요. <br> <br>선동 이론 강연부터 선동문 작성과 스피치 발성 등 실습 교육까지 이뤄진다고 합니다. <br> <br>Q. 선동 교육이라니 낯선데요. 이건 왜 하겠단 겁니까? <br><br>'실력있는 선동가'를 만들고 교육하기 위한 취지라고 하는데요. <br> <br>민노총은 지금이 '광장 투쟁의 시대'라며 "선동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실제로 탄핵 정국에서 윤 대통령 탄핵 찬성 집회를 계속 열고 있기도 하죠. <br> <br>Q. 이 '선동 학교', 정치권은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? <br><br>국민의힘은 "정치 투쟁을 위해 선전 선동·불법 시위만 일삼는 노조는 아무런 존재 가치가 없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"윤석열을 체포하라!"<br>"윤석열을 체포하라!" <br> <br>[박민영 / 국민의힘 대변인 (오늘)] <br>"한술 더 떠 전문 선동가를 양성하겠다니, 무관용의 원칙으로 단호하게 대처해나갈 것입니다." <br><br>'선동'의 사전적 뜻은 "남을 부추겨 어떤 일이나 행동에 나서도록 함"이죠. <br> <br> 우리 사회에 각종 집회 시위가 많아지다 보니 이제는 선동학교까지 등장하는 시대가 됐습니다. (선동시대)<br> 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최승연 기자 suung@ichannela.com